경제야 놀자 57

국세 환급금 찾기 조회방법

국세 환급금 찾기 조회 방법 오늘은 국세 환급금 찾기 조회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매번 세금을 내기만했지 받아본적은 없었네요 이번 기회에 잊고있었던 본인의 환급금을 한번 찾아보는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더냈던 세금을 환급받는다면 공돈이 생긴것처럼 기분이 좋은 일이잖아요 애기들으니 5년동안 찾아가지 않으면 나라에 환수된다고 하네요 그러긴 싫으시잖아요 잊지말고 본인이 더낸 세금 꼭 꼭 찾아가시길 바랄께요 현재 국세청에 조사된 미수령 국세 환급급은 총 1434억원이나 되네요. 엄청난금액이네요. 3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국세를 미처 환금 받지 못했다고 하네요. 인터넷 국세청 홈텍스에서나 스마트폰 앱에서도 쉽게 알아보고 환급 받을수 있다고 하니 세금을 꼭 돌려 받으시길 바랄께요. 30만명이라고 하니 한사람당 4..

개인 연금 저축

개연 연금 저축 오늘은 개인연금 저축 제도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우리의 노후준비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개인연금 저축은 꼭 잘 알아보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시간은 생각보다 빨리 지나가며 시간이 지나 우리가 경제 활동을 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서 개인연금 저축은 꼭 가입하는 게 좋아 보이네요. 개인연금 저축 제도의 정의 개인연금 제도는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노령인구가 급속히 증가 함에 따라 노후 소득 보장 제도의 확충이 절실하게 되었네요. 연금 저축의 경우 최소 5년 이상 납입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을 받는 대표적인 노후 대비 금융 상품입니다. 매년 연말 정산 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연간 납입금액 중에 400만 원을 매년 소득..

일본 경제의 잃어 버린 10년의 역사에서 교훈을 얻자

일본 경제의 잃어버린 10년은 거품경기 이후인 1991년부터 2001년까지의 일본의 극심한 경제 장기 침체 기간을 말합니다. 1990년 주식 가격과 부동산 가격의 동반 급락으로 수많은 일본의 기업과 은행들이 줄줄이 도산하였고 그로 인해 일본 경제는 10년 넘게 제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10년간의 불황을 복합불황이라고 부르고 있고 불황의 기간이 길어져 잃어버린 20년이라는 표현이 나타나게 되었네요. 경제 침체 이전의 일본 한국 전쟁의 발발로 인해 미국은 일본에 엄청난 군수 산업에 투자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군수산업의 투자는 일본내 다른 산업에도 영향을 미쳐 1950년대 일본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게 됩니다. 또한 일본 정부는 기업들이 투자금을 쉽게 확보할..

한국산 제품 없어서 못판다 화상 상담으로 3월 2천만달러 수주

우리나라 제품의 판매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고 하네요. 역시 국가 이미지 상승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내용으로 보입니다. 간편식에 화장지 까지 한국 제품 특수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간편식에 화장지 가지 한국 제품이 특수를 누리고 있네요 국내 쌀국수 업체 역시 중국 등에 잇다라 수출 계약을 맞고 있네요. 누군가 우리나라의 수출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고 이야기하더군요. 이유는 수출 상담을 하지 못하고 수주를 하지 못해 수출 타격이 기정 사실이고 위기가 올것이라고 단언하더군요. 국내 쌀국수 업체, 중국등과 잇따라 수출 계약 이런 방법이 있군요. 화상 상담을 통해서 수출 상담을 진행하고 비대면을 통해서 수출 주문을 받아내게 되네요. 코로나 사태로 각종 해외 매스컴에서 한국의 코로나 대처가 확실히 좋은..

[제1화] 1920년 경제 대공황의 역사에서 교훈을 얻자, 치욕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배워야 한다.

오늘은 미국의 가장 길고, 깊었던 경제 위기 기간인 1929년부터 1939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대폭락의 시작, 인간의 탐욕으로 인한 혼돈 경제 대공황은 10여년 동안 지속되었네요 그 시작은 1929년 월스트리트 대 폭락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20년대는 부가 넘쳐나고 있었네요. 미국 공업의 대 팽창이 이뤄졌습니다. 공업의 대 팽창과 미국 농촌의 대 위기는 공업과 농업의 극심한 차이를 가져왔고 농촌의 극심한 재정적인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지속적인 주식 활황으로 사람들의 심리에 주식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는 착각에 빠지게 하였죠. 1929년 3월 연준이 과도한 투 기세를 지적하자 투자자들은 빠르게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했네요. 이게 점점 덩어리가 커져 급격한 매도세를 유발했네..

[블룸버그 국제유가 가격] OPEC의 긴급회의를 요청함에 따라 유가의 상승이 기대되는 상황이네요. 각국 정상들은 이번 유가 전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네요

OPEC 사무국의 두 고위 소식통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소집한 이번 회의는 화상회의를 통해 개최될 예정이며 러시아와 다른 나라들을 포함한 OPEC과 석유 생산국들도같의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OPEC은 러시아 및 기타 석유 생산국들과 만나 공급 감소에 합의하고 현재와 같은 원유 가격 전쟁을 종식시킬 것을 원하고 있네요. 세계 증시는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공급 감소에 대한 언급으로 원유의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네요 이번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감산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제안하고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시장에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긴급' 노력을 촉구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이네요. 이제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으로 사우디와 러시아 간의 원유 감산 합의가 이뤄질지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

[10 억 투자 포트폴리오]10억 부동산 부자들은 어떻게 돈굴리고 자산을 축적해서 생활하는지 한번 배워보자

부자들의 시드머니 확보 시기는 평균 41세, 자녀 증여 시기는 65세 ▶ 국내 부자들은 평균 41세를 기점으로 시작한다. 이 시기는 부자가 되기 위한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시점이다.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1순위 수단은 사업소득이 32.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속 및 증여(25.4%)는 두 번째로 조사되었으며 이어 근로소득, 부동산투자 순이었다. ▶ 부자가 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추가적인 부를 축적한 1순위 수단도 사업소득(31.5%)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 수단은 시드머니 확보 수단과는 다르게 부동산투자(25.3%)였다. 한편 근로소득(15.1%)은 부의 축적수단로는 상당히 낮은 포션을 차지하고 있네요. 자산 축적수단으로 활용하는것은 근로 소득보다는 사업이나 부동산 투자를..

올해 중국 경제 성장하지 못할수도 있을듯 중국 부동산도 하락할것 같네요, 44년만에 처음 있는일이네요

GDP growth this year in the world's second biggest economy could sink to just 1% or 2%, down from 6.1% in 2019, according to recent estimates by analysts, including a Chinese government economist. In a worst case scenario, the $14 trillion economy may not grow at all, the World Bank warned earlier this week. 중국 경제가 올해 1% 또는 2% 성장에 그칠것이라는 예상이 강하게 힘을 받고 있네요. 이는 일부 경제 전문가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의 경제 전문가도 동일한 ..

[블룸버그 국제 유가 가격] 사우디 러시아 유가 전쟁 누가 이길것인가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와의 국제 원유시장 주도권을 둘러싼 유가 전쟁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사우디가 사상 최대 규모의 석유 증산을 시사하면서 국제유가가 18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갔다. 30일(현지 시각)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6.6%(1.42달러) 떨어진 20.09달러에 장을 마쳤다. 지난 2002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가격으로 장중 한 대 19.27달러까지 하락하며 20달러 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사우디와 러시아의 원유 전쟁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네요. 유가 20달러 밑이라면 러시아와 미국뿐만 아니라 사우디 외의 원유 생산국은 손해를 감수하고 원유 판매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겠네요. 사우디 역시 20달러라면 팔수록 손해를 내..

[코로나 우울증] 코로나 블루 뜻, 증상, 극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감염에 대한 위험 스트레스와 외부 활동 제약으로 인한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 하고 있네요. 코로나에 우울감을 상징하는 블루를 합하여 코로나로 인해 발생한 우울증을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로 나타내고 있네요. 현재 각국에서 치열하게 펼치고 있는 코로나의 물리적인 방역에 이어 심리적인 우울증에 대한 조치도 이제는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코로나 19로 인한 스트레스는 건강에 대한 염려, 불안, 불면, 우울증, 답답함 등의 각종 정신적인 불안 요소와 이로 인한 신체적인 증상이 유발 되게 되네요. 코로나 사태가 증가하기 시작한 1월 말부터 약 두 달 이상의 시간이 흘렀네요. 이렇게 장기적인 스트레스의 지속은 정서 불안의 유도해 더 심한 신체적인 증상을 유발하게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