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남부 규제하자, 인천·대전·세종 올라
-코로나19로 통화확대, 부동산으로 흘러들어오지 않게 대비해야[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지난 2·20 부동산 대책 이후, 또다시 규제를 벗어난 지역의 집값 상승이 나타나면서 시중 유동성의 부동산 시장 유입을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규제로 누르면 해당 지역이 잠잠해지는 대신, 개발호재나 이벤트가 있는 곳이 올라가는 ‘풍선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저금리와 유동성 확대로 방향이 모아지면서, 이후 시장 흐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월 20일 정부의 부동산 정책 이후에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 설명 하고 있네요. 수원 지역에 부동상 상승세가 이번 규제로 주춤에 지면서 인천 송도 지역등의 비규제 지역으로 풍선 효과가 옮겨갈 우려가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유심히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 해야 겠네요. 특히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으로 저금리 기조, 시장의 유동성확대 등의 정부의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이야기 입니다. 당연하겠죠 총선도 있고 코로나로 발생한 경기 불황기조를 끊어내고 싶을 겁니다.
함 빅데이터랩장은 “미분양이 적고, 공급과열 우려가 없거나 교통망 확충 예정지 그리고 토지보상금 유입 가능성이 있는 개발 호재 지역은 지속적으로 상승 자극을 받으며 또다른 풍선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금 유심히 투자처로 보아야 할곳이 미분양이 적고, 공급이 적고 교통이 확충될 가능성이 높은 곳 그리고 토지 보상금이 풀리는 지역 근처 지역이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네요. 광주? 하남?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코로나19로 쌓이는 유동성 어디로=문제는 코로나19로 실물경기 침체가 예상되면서 시장에 돈은 더 많이 풀릴 것이라는 데 있다. 경기침체로 풀린 돈이 고루 흘러가지 않고 부동산으로 들어오게 될 경우 부작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장 한국은행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고없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낮춘 ‘빅컷(Big Cut)’을 단행하면서, 4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하 압박을 받게 됐다.
게다가 수도권 3기 신도시 개발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대규모 사업 추진에 따른 수십조원의 토지보상금이 연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전국적으로 이 규모를 45조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시중에 돈이 늘어나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다만 정부가 부동산 다주택자나 고가 주택 보유자에 대한 대출과 세금 규제 수위가 높기 때문에 상승세는 국지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그는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오른 지역은 규제를 하되, 시장 정상화를 위해 유동성이 다른 산업 영역으로 흘러갈 수 있는 정책을 내놔야한다”며 “동시에 서울지역 정상화를 이룰 공급확대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출처 헤럴드 경제
대책을 알려주네요 가격이 오른 지역 규제는 지금처럼 진행 하되 시장에 풀린 자금이 기업이나 다른 산업으로 전이될수 있도록 정책을 실현해야겠죠 SOC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라는 이야기로 들립니다.
또한 서울지역 공급 확대? 이건 매번 전문가들이 이야기 하는 내용이네요 공급확대는 자칫 현재 강남의 가격 정체를
잘못 건드릴수 있으니 주의 해야 합니다. 가격 상승을 주도한게 강남의 재개발 재건축이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