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7

[인터넷 등기소 방문] 등기부등본 열람, 등기부등본 발급 이렇게 하시면 쉬워요

등기부 등본 이란 토지 등기부등본은 해당 토지의 토지 이용 계획, 용도 소유권, 채무, 근저당 설정 내역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해당 토지에 관한 모든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동산 매매를 하실때는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정보들입니다. 이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인터넷 등기부 등본 발급방법 등기부 등본 열람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변 동사무소 또는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를 접속하시면 됩니다. 동사무소 가시면 비용이 발생 하니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를 추천합니다. 사이트 주소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세요. http://www.iros.go.kr/iris/prt/RPRTAxSetupFailJ.jsp?svc_cls=iris&isu_view=view 인터넷 등기소에 들어가..

[3화] 첫 투자에서 작지만 첫 수익을 내다.

2005년부터 부동산 스터디를 시작했고 2006년부터 **부자 카페의 부동산 강의를 듣고 투자 마인드를 초보수준이나마 수립할수 있었네요. 그와 병행 해서 재테크 관련된 책을 매일 2시간 이상씩 읽는걸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기본이고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 고민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고달픈 돈버는 월급쟁이 생활에서 어렵지 않게 벗어날줄 알았습니다. 자신감이 있었죠. 당연히 오래 걸리지 않을꺼라 생각했습니다. 2~3년 안에 경제적 자유를 얻을수 있을꺼라 생각했습니다 무지하면 용감하다고 했었나요. 꼭 저를 이야기 하는것 같네요. 각종 카페 정모도 많이 참여 했습니다. 현장 임장도 꼭 참석하였고요. 정말 많은 사람을 만나고 많은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결과는 어떨까요. 아쉽지만 아니 당연히 불가..

[부동산 스터디] 돈을 부르는 부자들만의 경제학 따라하기

돈이 없어도 돈을 별수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라. 돈이 없어도 돈을 벌수 있다는 마인드에서 벗어나라 돈이 없으면 돈을 버는 건 정말 힘들다. 물론 유튜브 투잡등으로 돈을 벌수도 있을 것이다. 돈이 없는 상태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자본 만큼에 본인의 노동 투입 과 시간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돈을 벌려면 반드시 부자의 돈버는 방법을 따라해야 한다. 서민들의 돈을 버는 방법은 단순하다. 쉽게 본인이 직장에서 하루종일 일을 하면서 받는 근로 소득 그리고 남을 고용해서 그들로 하여금 돈을 벌게 하는 자 소득 즉 자영업 또는 사업소득 그리고 돈이 자동으로 돈을 벌게 하는 임대 소득이 있다. 서민은 근로소득이 소득의 대부분을 차치하고 없거나 아주 작은 비중의 사업 소득, 임대 소득으로 구성 되어 있다. 보통 근로..

[2화] 부동산 고수들과 함께 했던 좌충우돌 재테크 공부의 시작

한 달 벌어 한 달 살아가는 저와 같은 월급쟁이에게도 희망은 있었습니다. 부동산 재테크는 하나의 큰 빛줄기? 와 같았습니다. 뭐랄까 주눅들어 생활하던 신입 사원 시절에 저 혼자만 보물을 발견한 것처럼 기뻤습니다. 그냥 행복했습니다. 매일 매일 남들 모르게 혼자 희망을 품고 회사를 다닐 수 있었습니다. 정선배가 ' 뭐야 뭐하는데 그렇게 싱글 벙글이야 편한가봐' 라고 말했지만 저는 기쁜 마음으로 회사 생활을 할 수 있었네요. 지금 정선배는 저를 무지 부러워 하고 있죠. 저녁 9시 10시에 퇴근하고도 힘들지 않았지요. PC에 앉아서 경매 물건 검색하고 이물 건이 좋을까. 아니면 다른 물건이 좋을까 고민했었습니다. 지난 시절이 생각나 찾아보니 *신 사이트에 제가 남겨놓은 글이 남아 있더군요. 신기하더라고요. 처..

[부동산 팁] 알아두면 돈버는 부동산 절세 팁을 알려드립니다

부동산 거래를 하면서 알아두면 좋을 절세의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거래 하실때는 살때는 6월 1일 이후 팔때는 6월 1일 이전에 하세요. 부동산 보유세는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종합 부동산세 이고 또 하나는 재산세 입니다. 세입자가 납부하는 세금이 아니라 부동산을 보유한 소유자가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세금 납부 기준일이 6월 1일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동산 계약을 하실때면 6월 1일 이후에 진행 하세요. 절세를 할수 있습니다. 1년치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를 납부하게 되니 6월에 부동산 거래를 하실 예정이시라면 사실때는 6월 1일 이후 파실때는 6월 1일 이전에 하세요 절세 팁입니다. 부동산 살때 영수증을 꼭 챙겨 놓으세요 나중에 양도 소득세를 절세 하실수 있습니다. 부동산을 팔면서 이익이 ..

[1화] 우연한 동기로 시작하게된 투자 고달펐던 투자의 시작

제가 투자를 시작하게 된 건 2005년이었습니다. 그때 처음으로 직장을 구해서 입사를 했고 지금과는 다른 상명 하복의 군대식 문화로 첫 부서 배치받은 날 새벽 2시까지 부서원들과 술을 마셔야 했습니다. 술마시는걸 즐기지 않는 저는 그것부터가 곤욕이었습니다. 처음 입사해서 일을 시작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부서에 선배의 괴롭힘이였습니다. 아무 이유가 없었고 저포함 입사 1~2년차인 선후배들은 그 선배의 괴롭힘을 당연하듯이 받아 들어야 했습니다. 그 선배보다 일찍 퇴근 하면 다음날 어김없이 숙제와 괴롭힘이 있었습니다. 왜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는지 지금은 잘 모르겠네요. 점심 식사는 5분 ~ 10분 만에 끝내고 운동장으로 나가서 하기도 싫은 족구에 농구에 배드민턴을 해야 했습니다. 땀에 쩔어서 사무실로 돌..

[부동산 강의] 부동산으로 돈벌고 싶으시다면 꼭 봐야할 투자 마인드

부동산으로 돈 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한 부동산 투자법을 정리 합니다. 투자 스터디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투자는 다른사람에게 맡기지 말고 본인이 직접 해야 한다. 부동산이나 아니면 주식, 채권 등등 재테크에 기본은 본인의 돈으로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절대로 다른 사람에게 맡겨서는 수익이 나지 않습니다. 투자 하실때는 꼭 직접 투자하세요 그래야 수익이든 손해든 본인이 견뎌 낼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다른 사람은 절대로 당신의 수익에 관심이 없습니다. 오로지 본인에 수익에 관심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 물론 간접 투자 방식에 투자 상품도 투자 할수 있겠지만 그 결정은 본인이 해야 합니다. 투자는 감당할수 있는 돈으로 해야 한다. 투자는 본인이 감당할수 있는..

[부동산 스터디] 내가 살기 좋은 아파트를 고르는게 좋은 아파트 고르는 법이다.(경기도살기좋은 도시)

쉽게 생각 하면 될것 같다 본인은 어떤 아파트에 살고 싶은가 당연히 연식이 얼마 안된 아파트에 주변 지하철역이 가깝고 서울이나 대도심에 접근하기 쉽게 대중 교통이 잘되어 있으며 먹을거리를 쉽게 구할수 있도록 주변에 마트도 가까웠으면 좋겠다. 또한, 아파트는 햇볕이 잘들게 남향이면 좋겠고, 주변에 공원도 가까워 산책하기 좋고 주변 소음도 적고 아플때 갈수 있게 종합 병원도 가까우면 좋겠고, 아이가 잘자랄수 있도록 학군도 좋고 체육시설도 있었으면 금상첨화 일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조건을 갖춘곳을 고르는건 상당히 어렵고 또한 비싸다. 아파트를 고를 때 중요한 건 아파트 해당동의 방향 이다. 모든 사람들이 꿈꾸는 아파트는 남향일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는 남향을 찾기 힘들다 남동향 또는 남서향이 대부..

[새해 부동산 정책] 2020년 새롭게 달라지는 부동산 정책들, 부동산 정책 정리

아래 변화되는 부동산 정책 정리본 입니다. 관심을 가지고 보셔서 잃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표는 저장또는 프린트해서 관심 있게 보세요. 1월 - 양도 소득세 장기 보유 특별 공제 해택 축소됩니다. (9억 초과 거주 요건 강화) - 전세자금 대출후 신규 주택 매입 제한 (전세자금 대출 갭 투자 제한) - 주택 매입시 취득세율 일부 변경 (취득 금액에 따라 1.01 ~ 2.99% 세분화 3 주택 이상인 경우 4% 취득세율) 2월 - 주택 청약 시스템이 변경됨 (금융 결제원 에서 한국 감정원) -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기간이 단축됨 (60일에서 30일) -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부동산 중계사와 중개 보수 협의 3월 -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 대상이 확대 됩니다. (투기 과열지구 3억 원 이상 , 조정대상..

[경제 뉴스 , 경제 기사] 돈의 흐름과 방향 전하는 경제 뉴스 읽는 방법 2

돈의 흐름과 방향을 전하는 뉴스 시장의 반응을 파악하자 이번에는 뉴스에 관련된 시장의 반응에 대해서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의 정책이 다양한 절차에 따라서 결정되고 부양, 억제 한쪽 방향으로 정책이 만들어지고 그 정책이 하나씩 실행 되면 그때서야 시장이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이 정책 방향을 읽지 못하고 상승/하락을 반복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그제서야 시장이 혼란스럽고 상승 하락 갈피를 잡지 못한다고 브리핑 하기 시작합니다. 한참 동안 상승과 하락의 시장의 혼돈이 이어지면서 혼란스럽게 됩니다. 그러다가 차츰 시장은 흐름읽기 시작하면서 한쪽으로 결정되고 시장에 뉴스가 쏟아지면서 차츰 시장이 반응하기 시작 합니다. 정책의 흐름을 차츰 읽게 되면 뉴스 1면에 관련 정책 기사들이 도배를 하..